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 간단 정리

by ahh12 2020. 10. 13.
반응형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사회주의

 

사회주의란 사유 재산 제도를 폐지하고 생산 수단을 사회화해서 모두가 공평하게 일하고 공평하게 분배받는 개인의 이득보다 사회의 이득을 우선시하는 경제체제를 말한다

 

19세기에 들어서며 세계 곳곳에서는 자본주의 열풍이 불기 시작한다 오랜 세월 봉건체제 아래 자유를 억압받아 오던 사람들은 민주주의, 자본주의에 크게 열광한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자본주의에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일을 하지 않아도 자본가(부르주아)들의 부는 날이 갈수록 더욱 커지는 반면, 노동자(프롤레타리아)들은 죽기 살기로 일을 해도 겨우 겨우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뿐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하루 15시간을 일해도 겨우 빵 몇 조각을 살 수 있는 돈을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문제점, 사회적 불평등으로 인해 사회적 갈등은 점점 악화되고 결국 자본주의에 반하는 사회주의가 등장하게 된다

 

하지만 최초의 사회주의는 그저 자본가들의 감성에 호소하거나, 사회에 대한 정밀한 분석 없이 막연하게 이상적 사회를 구상함으로써 전부 실패하고 만다 그래서 최초의 사회주의를 초기 사회주의 혹은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한다

 

최초의 사회주의가 실패하고 시간이 지나 19세기 중반으로 들어가면서 다시 한번 여러 종류의 사회주의 사상이 등장하게 되는데, 여러 종류의 사회주의 사상중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바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막시즘이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막대한 연구를 통해 굉장히 정교하고 과학적인 이론들을 발표하게 되고, 자신들의 사상은 그저 사람들의 감성에만 호소하는 공상적 사회주의와는 차원이 다른 과학적 사회주의라고 말하며 자신들을 공산주의자라고 칭한다

 

그리고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승계한 사람이 바로 블라디미르 레닌이며, 레닌에 의해 소련이라는 국가가 탄생하게 된다 공산주의라 함은 바로 이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뜻한다 그렇다면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는 무엇이 다른 걸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차이

1. 수단과 목표

 

수단과 목표

 

우선 공산주의는 사회주의라는 큰 틀 속의 여러 사상중 하나이다 즉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의 일부이다 하지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가 같은 것은 아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사회주의는 사회의 이득을 우선시하며, 공동생산 공동분배라는 입장을 취한다 공산주의도 사회의 이득을 우선시하는 것은 맞지만 공동생산 공동분배라는 입장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공산주의가 공평하게 일하고 공평하게 분배한다고 알고 있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이는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마르크스가 제시한 공산주의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것이다 오랜 기간 자본주의로 쌓은 막대한 부를 통해 나라의 창고를 가득 채우고, 몸이 아프거나 일을 할 수 없는 사람도 원하는 만큼 분배를 받을 수 있는, 원하는 만큼 일하고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있는 지상낙원이 바로 마르크스의 공산주의다

 

결국 공산주의자들에게 사회주의란 공산주의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단계인 것이다 즉 공산주의라는 최종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이 사회주의인 것이다 

2. 주체

공산주의자들은 혁명을 통해 사회를 바꿔야 하며, 혁명의 주체가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공산주의는 과격하고 급진적이다 또한 노동자들이 나라의 주인이며 결국에는 나라 존재 자체가 필요 없는 세상을 꿈꾼다

 

반면 사회주의는 자본가들이 스스로 권력을 내려놓게 하고,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공산주의에 비해 온화한 편이며, 소수의 엘리트들이 나라를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주의의 반대는 공산주의가 아니다

간혹 민주주의의 반대가 공산주의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정치체제이고 공산주의는 경제체제이다 민주주의의 반대는 같은 정치체제인 독재체제이고, 공산주의의 반대는 같은 경제체제인 자본주의가 된다

 

 

 

 

반응형

댓글